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가 올해 유엔 세계식량계획(WFP, World Food Programme)을 통해 아프리카, 아시아, 중동, 중남미 등 17개국의 난민, 강제 이주민, 영양결핍 아동 등 총 818만 명을 대상으로 15만 톤의 쌀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와 분쟁 등으로 심각해진 국제 식량 위기가 완화될 수 있도록 기여하여 국제사회 식량위기 극복에 앞장서게 될 것으로 보인다.

 

2025년 식량원조계획 인포그래픽(사진 :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우리나라는 2009년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가입으로 국제사회 최초로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하였으며, 2018년 식량원조협약(FAC, Food Assistance Convention) 가입 이후 매년 5만 톤 규모의 쌀을 지원해왔다. 지난해에는 지원 규모를 10만 톤으로 늘려 11개국 767만 명에게 식량을 제공했으며, 올해는 이를 15만 톤으로 확대해 818만 명에게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세계기아지수(Global Hunger Index), 우리 쌀에 대한 수용성 등을 감안하여 지원 대상국으로 아프리카 9개국(케냐, 우간다, 에티오피아, 모잠비크, 마다가스카르, 나미비아, 모리타니, 시에라리온, 기니비사우), 아시아 4개국(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필리핀, 타지키스탄), 중동 3개국(레바논, 예멘, 시리아), 중남미 1개국(쿠바) 등 총 17개국을 선정하였다. 

 

특히, 올해는 지난해 수교를 맺은 쿠바를 지원 대상에 포함함에 따라 우리 쌀 지원이 중남미까지 확장하는 등 국제사회에서의 위상을 더욱 높이고 세계 식량위기 해소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계속해서 이어갈 예정으로,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더욱 높이고 있다.

 

역대 최대 규모의 지원 물량은 상·하반기 두 차례로 나누어 울산, 군산, 목포, 부산 등 4개 항구에서 4월과 10월 출항, 2025년 7월부터 수혜자들에게 전달된다. 한국 쌀은 그간 전쟁, 코로나19(COVID-19) 등 불안정한 여건 속에서도 매년 7월 현지에 도착하여 수혜자들의 신뢰도 및 만족도가 매우 높았다. 실제로 2024년 유엔세계식량기구 조사에서도 90% 이상이 ‘만족’ 또는 ‘매우 만족’으로 응답하는 등 한국 쌀 품질의 우수성이 입증된 바 있다.

 

농식품부는 기후변화와 내전 등으로 심화되는 식량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K-라이스벨트, 스마트팜 등 한국형 농업 브랜드 사업을 확대하고, 글로벌농업개발추진팀을 신설해 체계적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정혜련 국제협력관은 "식량원조 사업은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에서 선진국으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다. 앞으로도 대상 국가와 지원 품목을 확대해 세계 식량위기 극복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대한민국의 식량원조 확대는 단순한 원조를 넘어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구성원으로서 세계 인도주의 활동을 주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과거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이제는 나눔을 실천하는 국가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모습은 국제사회에 귀감이 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인류 공동체의 번영을 위한 지속 가능한 지원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